월 수출 40억원대로 아직 미약
전년 동월·전월 대비 상승

국내화장품은 중국 특수가 없어지면서 수출 다변화를 통해 극복하려고 한다. 기초화장품 등 9대 주력 품목의 10대 수출국의 수출 현황 등 경쟁력을 관세청의 통계를 기반으로 진단했다. -편집자 주-

[8]2월 K뷰티 유아화장품 10대 수출국 현황

국내 유아화장품 시장은 그동안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참여 저조로 크게 발전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아화장품의 월 총 수출액은 50억원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지만 전년 대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브랜드들의 진출이 요구되고 있다.

2월 총 수출액은 46억원(3,460천 달러)으로 전년 동월 41.7억원(3,138천 달러) 대비 10% 증가됐다. 1월에도 59% 증가돼 2달째 상승중이다.

중국이 최대 수출국으로 14.7억원을 달성해 전년 동월 13.1억원 대비 12% 향상됐다. 또 전월 대비로는 3천만원 정도 하락했지만 안정적인 흐름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에는 10.2억원으로 전년 동월 1.9억원 대비 4335 폭증했다. 1월의 경우에도 전년 동월 대비 235% 폭증하면서 수출 유망국가로 부상했다.

특히 지난 1월에는 싱가포르에 대한 수출이 폭증하면서 3위 수출국으로 부상했지만 2월에는 미국 수출이 3.8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7125% 폭증하면서 3위를 차지했다. 

또 10대 수출국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중국 12%, 인도네시아 433%, 미국 7125%, 콜롬비아 1750%, 대만 1385%, 태국 4% 각각 향상됐다.

반면 베트남 -50%, 인도 -14%, 호주 -86%, 싱가포르 -86% 등이 각각 악화됐다.

유아용화장품의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아용화장품의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들 국가의 수출액은 중국 17.7억원, 인도네시아  10.2억원, 미국 3.8억원, 베트남 2.5억원, 인도 1.8억원, 콜롬비아 1.4억원, 호주 1.4억원, 대만 1.3억원, 싱가포르 1.3억원, 태국  1.1억원 등이었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