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수출국(10.5% 증가) VS 미국, 22.1% 감소'

4달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이던 화장품수출이 소폭 증가해 다행이다.

특히 그동안 강세를 보여왔던 기초화장품과 메이크업 제품은 소폭 증가한 반면 향수와 인체용탈취제, 세안용품, 두발용품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여름철이라는 계절적 특수와 수출 품목의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화장품 수출(단위: 억 달러, %)

산자부가 오늘(1일) 발표한 7월 수출 실적 통계에 따르면 화장품은 5억 1,000만 달러를 수출해 지난해 동월 5억 800만 달러 보다 0.5% 증가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2.7%(5억 9,300만 달러), 4월에는 0.2%(5억 8,400만 달러), 5월에는 1.8%(5억 8,500만 달러), 6월에는 14.2%(4억 7,400만 달러) 등으로 4달 연속으로 감소하면서 위기가 높았다.

산자부는 지난 7월1일부터 25일까지 화장품 품목에 대한 수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향수가 80만 달러로 지난해 동월 대비 159.2%가 증가했으며 인체용탈취제는 20만 달러(60.7%), 세안용품은 1,220만 달러(34.1%), 두발용제품은 1,950만 달러(45.2%),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은 3억 2,890만 달러(1.7%)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역별 수출 실적은 좋든 싫든 중국이 우리의 가장 큰 수출 국가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이 1억 8,000만 달러(10.5%)였고 아시아 5,000만 달러(12.3%)다. 반면 미국은 4,000만 달러로 지난해 동월 대비 22.1%가 감소했다.

5대 유망 소비재 수출 추이

한편 최근 긴장 국면이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와 일본과 무역 동향은 1965년 수교 이래 2억달러에서 2018년 851억달러로 연평균 12.1% 성장(3위 교역국가)했다. 양국 무역규모는 2011년 1,080억달러로 최고점 기록 후 점차 감소해 2018년 851억달러 기록했다.

대일 수출은 1965년 0.4억달러에서 2018년 305억달러로 연평균 13.1% 성장했으며 비중은 1965년 25.5%에서 2018년 5.0%로 감소(△20.5%p)했다. 반면 대일 수입은 1965년 1.7억달러에서 2018년 546억달러로 연평균 11.3% 성장했으며 비중은 1965년 37.8%에서 2018년 10.2%로 감소(△27.6%p)했다.

대일 무역 수지는 1965년 수교 이래 54년간 연속 적자(2018년은 241억달러)를 기록했다. 누적 적자자는 총 6,045억달러로 한국의 2018년 수출액(6,049억달러)과 유사하나, GDP 대비 적자 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특히 일본이 수출규제를 발표(7.1일)한 이후 우리나라의 7월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인 이다.

수출은 2019년 상반기 대일 수출이 감소세(△6.0%)인 가운데 7월 수출은 석유화학・반도체・차부품 등 부진으로 소폭 감소(△0.3%)했다. 수입은 우리나라의 세계 수출 하락세에 따라 對日 부품・소재・장비 수입의 감소세 지속으로 7월 수입은 하락(△9.4%)했다.

무역수지는 2019년 월별 대일 무역수지는 10∼20억불 적자이며, 7월 무역수지도 이와 유사한 수준(△16.2억불)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현재의 수출부진 상황에 대해 엄중한 위기의식을 갖고 하반기에도 수출 총력지원 체계를 지속 가동, 수출 활력이 조기에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장 애로 해소를 강화하기 위해 수출활력 촉진단 2.0을 확대・보강하여 일본 수출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계 요청에 따라 국내 주요 20개 업종 대상 설명회를 진행하여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공유하고, 1:1 밀착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국회에서 추경이 확정되는 즉시 무역금융과 수출 마케팅을 속도감 있게 지원하고,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수출시장 구조혁신 방안과 기업의 수출 비용 부담 절감 및 신수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무역촉진 방안 등 수출구조 4대 혁신방안(품목·시장·기업·인프라)도 차질없이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특히 “일본이 화이트 리스트 배제 조치를 취할 경우 그간 준비해 온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의 역량을 총동원해서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하여 WTO 제소와 함께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통상대응을 강력하게 전개하는 한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기 물량 확보, 대체 수입처 발굴, 핵심 부품・소재・장비 기술개발 등을 위해 세제・R&D자금・무역보험 등 범부처 가용수단을 총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우리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 특별법 개편 등 제도적인 틀도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