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 등 부자재 동반성장 기대되고 지원금 통합관리 필요...

2018년 화장품 내수경기는 살의 질 향상 등 사회적 트랜드 등으로 소폭이나마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여기다 2017년 식약처가 기능성 화장품 범위를 대폭적으로 확대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자연적인 증가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기능성화장품 범위확대로 자연 증가와 수출 다변화로 호조가 예상된다. 

하지만 문제는 있다. 내수 경기가 부진하고 중국 등 해외 관광객에 의존도가 낮아졌다는 것이다. 특히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각 회사별 성장 폭은 업체마다 크게 차이가 날 것으로 보여진다.

수출경기의 경우에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따라 큰 폭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계가 개선이 된다면 큰 폭으로 성장을 할 수가 있을 수 있지만 관계가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2017년도 4/4분기 보다는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국 이외의 동남아 국가로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2017년 아모레퍼시픽을 비롯한 많은 국내 기업들이 미국과 중동 등 다른 국가로의 수출 다변화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에 서서히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화장품 소재분야가 성장할 것으로 여겨진다. 용기분야도 좀 더 많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된다. 해외 수출이 증가할수록 용기 등 부자재는 필수사항이므로 관련 분야는 동반성장할 것으로 풀이된다.

대학 및 대학원의 인재양성은 당분간은 문제가 없다. 하지만 약 5년 후 정도가 되면 과잉배출으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가 2018년부터 시작돼야 한다.

또 각 지자체별로 화장품산업 발전을 위한 많은 지원이 쏟아지고 있다. 자칫하면 국민의 혈세를 낭비할 수 있는 요인도 내재돼 있다. 통합된 콘트롤 타워로 중복지원과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뷰티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